MBK 파트너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BK 파트너스는 김병주 회장이 2005년에 설립한 북아시아 지역 전문 사모펀드이다. 중국, 일본, 대한민국을 중심으로 투자를 진행하며, 베이징, 홍콩, 서울, 상하이, 도쿄에 사무실을 두고 있다. 주요 투자 사례로는 홈플러스, 코웨이, 오렌지라이프 등이 있으며, 롯데카드 인수 시도가 있었으나 불발되었다. 2022년에는 지분 일부가 블루 아울에 매각되었고, MBK 파트너스는 MBK 엔터테인먼트와는 별개의 회사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모펀드 - UBS
UBS는 1862년 스위스에서 설립된 금융 회사로, 스위스 유니온 은행과 스위스 은행 코퍼레이션의 합병을 거쳐 현재의 UBS AG가 출범했으며, 글로벌 웰스 매니지먼트, 투자 은행, 자산 운용 등의 사업을 운영하며 크레디트 스위스를 인수하기도 했다. - 사모펀드 - 블랙스톤 그룹
블랙스톤 그룹은 1985년에 설립된 미국의 다국적 투자 회사로, 사모 펀드, 부동산, 헤지 펀드, 크레딧 등 다양한 분야에 투자하며 세계 최대의 사모 펀드 회사 중 하나이고, 힐튼 월드와이드, 레고랜드 등에 투자했으며 최근에는 일본 시장에도 진출했지만, 서던 크로스 헬스케어 인수 및 운영 과정에서 사회적 책임 논란이 있었다. - 2005년 설립 - 대한민국 여성가족부
대한민국 여성가족부는 여성 정책, 가족 및 다문화가족 정책, 아동·청소년 관련 사무를 수행하며,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2005년 출범했지만, 셧다운제 시행, 예산 낭비 논란 등 다양한 논란에 휩싸여 존폐론이 제기되기도 한다. - 2005년 설립 -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는 일제강점기 친일반민족행위 진상 규명을 위해 2005년 발족하여 2009년까지 활동한 국무총리 소속 위원회이며, 친일 행위자를 선정, 조사하고 관련 사료를 편찬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MBK 파트너스 | |
---|---|
기본 정보 | |
![]() | |
설립일 | 2005년 |
설립자 | 김병주 |
산업 | 사모 펀드 |
운용 자산 | 미화 300억 달러 (2023년) |
공식 웹사이트 | MBK 파트너스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MBK 파트너스는 2005년 김병주 회장이 칼라일 그룹에서 독립하면서 설립되었다.[2][5][6][7][8] 투자 대상은 중국, 일본, 대한민국 등 북아시아 지역이며,[2][3] 베이징, 홍콩, 서울, 상하이, 도쿄에 사무실을 두고 있다.[9]
2. 1. 설립 배경 (2005년 이전)
김병주 회장은 1963년 경상남도 진해에서 태어나 10세에 미국으로 건너갔다. 하버포드 칼리지에서 영문학을 전공하고 골드만 삭스에 입사한 뒤 하버드 경영대학원을 졸업했다. 살로만스미스바니를 거쳐 칼라일 그룹 등에서 근무했다. 박태준 전 포스코 명예회장의 넷째 사위이다.[1] 외환위기 당시 한국 정부의 외국환평형기금채권 발행에 참여하기도 했다.[1] 1999년, 37세의 나이로 세계 최대 사모펀드 중 하나인 칼라일 그룹에 입사하여 아시아 회장을 맡았다.[1] 한미은행을 인수하여 7천억 원의 차익을 남기는 등 업계에서 주목받는 인물로 떠올랐다.[1]2. 2. MBK 파트너스 설립 (2005년)
김병주 회장은 칼라일 그룹에서 독립하여 2005년에 MBK 파트너스를 설립했다. 회사 이름은 김병주의 영문명 '마이클 병주 킴(Michael ByungJu Kim)'에서 따왔다.[2][5][6][7][8] MBK 파트너스는 중국, 일본, 대한민국 등 북아시아 지역을 투자 대상으로 한다.[2][3] 베이징, 홍콩, 서울, 상하이, 도쿄에 사무실을 두고 있다.[9] 2022년 1월에는 회사의 지분 13%가 블루 아울(Dyal Capital Partners)에 매각되었다.[8]2. 3. 지분 매각 (2022년)
2022년 1월, MBK 파트너스는 블루 아울(Dyal Capital Partners)에 지분 13%를 매각했다.[8]3. 투자 전략
4. 주요 투자 사례
MBK 파트너스는 대한민국, 중국, 일본 등 동북아시아 지역의 다양한 기업에 투자해 왔다. 주요 투자 사례는 다음과 같다.
국가 | 기업명 및 투자 내용 |
---|---|
대한민국 | 한미캐피탈(KB금융그룹 인수, 현 KB캐피탈), HK저축은행 (현 애큐온저축은행), D'LIVE(구 씨앤앰), GS 강남/울산케이블, 두산테크팩(동원그룹 인수, 현 테크팩솔루션), 영화엔지니어링, 코웨이 (웅진그룹 회수 후 재매각, 넷마블 인수), 네파, 오렌지라이프(신한금융그룹 인수, 구 ING생명), 홈플러스, 두산공작기계, 대성산업가스, MH&Co., SK온, 메가존클라우드, 인스파이어 리조트 등 |
일본 | 야요이, 타사키, 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 인보이스, 코메다커피, Accordia Golf 등 |
중국 | 베이징보웨이공항지원, 루예제약, GSEI, 뉴차이나생명, Apex Logistics, 차이나네트워크시스템(CNS), 갈라TV 등 |
기타 | 2019년 고디바 초콜릿의 아시아 태평양 사업 부문 인수 (15억달러)[18] |
2024년에는 타사키(TASAKI) 지분 100%를 홍콩계 사모펀드(PEF) 운용사인 파운틴베스트와 일본계 PEF 유니슨 컨소시엄에 매각하였다.[19]
4. 1. 대한민국
MBK 파트너스는 한미캐피탈(KB금융그룹이 인수, 현 KB캐피탈), HK저축은행 (현 애큐온저축은행), D'LIVE(구 씨앤앰), GS 강남/울산케이블, 두산테크팩(동원그룹이 인수, 현 테크팩솔루션), 영화엔지니어링, 코웨이 (웅진그룹이 회수 후 재매각하여 넷마블 인수), 네파, 오렌지라이프(신한금융그룹이 인수, 구 ING생명), 홈플러스, 두산공작기계, 대성산업가스, MH&Co. 등을 인수 또는 투자했다.2019년 5월 MBK 파트너스와 우리은행 컨소시엄은 롯데카드 인수합병 우선협상대상자가 되었다. 우리카드를 보유한 우리은행이 롯데카드를 인수하면 카드 자산규모가 22조 6358억원으로 늘어나 신한카드, 삼성카드에 이어 업계 3위, 시장점유율은 업계 2위(19.8%)로 단숨에 뛰어오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우리금융지주는 롯데카드를 인수하지 않았고, 우리카드는 2023년 7월에 롯데카드 인수 대신 자체 카드 매입망을 구축했다. 그 와중에 롯데카드에서 로카모빌리티 등을 분할 매각했다.
2013년 8월, MBK 파트너스는 ING의 대한민국 보험 사업부를 총 현금 1원 (16.5억달러)에 인수했다.[14]
2015년 9월, 테스코는 대한민국 사업체인 홈플러스를 MBK 파트너스, CPPIB, 테마섹 홀딩스에 400억파운드에 매각했다.[15]
4. 2. 일본
2009년 5월, MBK 파트너스(MBKP)와 골드만삭스는 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의 지분 98.3%를 14억달러에 인수했다.[13]2014년 11월, MBK 파트너스는 회계 소프트웨어 제작업체인 야요이 주식회사(Yayoi Co)를 일본 금융 서비스 제공업체인 오릭스 주식회사에 800억엔(6.91억달러)에 매각했다.
4. 3. 중국
MBK 파트너스는 중국, 일본, 대한민국 등 북아시아 지역에 투자한다.[2][3] 베이징, 홍콩, 상하이 등에 사무실을 두고 있다.[9]2016년 10월, MBK 파트너스와 TPG 캐피탈은 더 워프 홀딩스로부터 워프 T&T를 12억달러에 인수했다.[16] 2018년 8월, 워프 T&T는 홍콩 통신 사업자인 HKBN에 13.4억달러에 매각되었다.[17]
4. 4. 기타
2009년 5월, MBK 파트너스는 골드만삭스와 함께 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의 지분 98.3%를 14억달러에 인수했다.[13]2013년 8월, MBK 파트너스는 ING 그룹의 대한민국 보험 사업부를 1.84조원에 인수했다.[14]
2014년 11월, MBK 파트너스는 회계 소프트웨어 제작업체인 야요이 주식회사를 일본 금융 서비스 제공업체인 오릭스에 800억엔에 매각했다.
2015년 9월, 테스코는 대한민국 사업체인 홈플러스를 MBK 파트너스, 캐나다 연금 투자 위원회, 테마섹 홀딩스에 40억파운드에 매각했다.[15]
2016년 10월, MBK 파트너스와 TPG 캐피탈은 더 워프 홀딩스로부터 워프 T&T를 95억홍콩 달러에 인수했다.[16] 2018년 8월, 워프 T&T는 홍콩 통신 사업자인 HKBN에 105억홍콩 달러에 매각되었다.[17]
2019년 2월, MBK 파트너스는 고디바 초콜릿의 아시아 태평양 사업 부문을 15억달러에 인수했다.[18]
5. 펀드 조성 현황
6. 논란 및 비판
MBK 파트너스는 여러 논란 및 비판에 직면해 왔다. 특히 2019년 롯데카드 인수 시도 과정에서 여러 논란이 있었다.
6. 1. 롯데카드 인수 시도 논란
2019년 5월 MBK 파트너스와 우리은행 컨소시엄은 롯데카드 인수합병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었다. 우리카드를 보유한 우리은행이 롯데카드를 인수하면 카드 자산 규모가 22조 6358억원으로 늘어나 신한카드, 삼성카드에 이어 업계 3위, 시장점유율은 업계 2위(19.8%)로 도약할 수 있었다. 그러나 우리금융지주는 롯데카드를 인수하지 않았고, 우리카드는 2023년 7월 롯데카드 인수 대신 자체 카드 매입망을 구축했다. 한편, 롯데카드는 로카모빌리티 등을 분할 매각했다.참조
[1]
웹사이트
Form ADV
https://reports.advi[...]
2022-11-24
[2]
웹사이트
MBK's deals rank among top 2021 PE exits in N.Asia
https://www.kedgloba[...]
2023-07-15
[3]
뉴스
MBK Wraps Up China Theme Park Purchases Worth $950 Million
https://www.forbes.c[...]
2024-03-16
[4]
웹사이트
PEI 300 The Largest Private Equity Firms in the World
https://www.privatee[...]
2023-07-22
[5]
웹사이트
Kim launches MBK Partners
https://www.privatee[...]
2023-07-15
[6]
웹사이트
MBK Partners co-founder tops 50 richest S.Koreans: Forbes
https://www.kedgloba[...]
2023-07-15
[7]
웹사이트
Michael Kim
https://www.forbes.c[...]
2021-12-24
[8]
웹사이트
Billionaire Michael Kim's Private Equity Firm Sells Stake to Dyal Capital
https://www.bloomber[...]
2022-01-12
[9]
웹사이트
Contact
https://www.mbkpartn[...]
2021-01-15
[10]
웹사이트
MBK Partners Palico
https://www.palico.c[...]
2021-01-15
[11]
웹사이트
MBK Partners sees 2nd special situations fund launch in H2
https://www.kedgloba[...]
2021-01-15
[12]
웹사이트
China, Japan and South Korea-focused MBK raising sixth flagship fund
https://asia.nikkei.[...]
2024-03-02
[13]
웹사이트
MBK Takes Over Universal Studios Japan
https://www.koreatim[...]
2021-01-15
[14]
뉴스
ING's Asia exit plan nears end as MBK agrees to buy South Korea unit
https://www.reuters.[...]
2021-01-15
[15]
뉴스
Tesco sells South Korea stores for £4bn
https://www.bbc.com/[...]
2021-01-15
[16]
웹사이트
HK tycoon Woo's Wharf agrees to sell telecom unit to TPG, MBK for $1.2 bln
http://finance.yahoo[...]
2021-01-15
[17]
뉴스
Hong Kong's telecom operator HKBN to buy WTT in $1.34 billion deal
https://www.reuters.[...]
2021-01-15
[18]
웹사이트
Chocolatier Godiva to sell Asian-Pacific operations to MBK Partners
https://www.cnbc.com[...]
2021-01-15
[19]
웹사이트
이슬이, MBK, 日 타사키 8200억 매각 '딜 클로징'
https://dealsite.co.[...]
2024-11-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